WEBVTT 00:00:00.000 --> 00:00:03.090 이 도형이 정삼각형이라 해 봅시다 00:00:03.090 --> 00:00:05.050 이 정삼각형을 바탕으로 00:00:05.050 --> 00:00:06.540 새로운 도형을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00:00:06.540 --> 00:00:08.980 어떻게 할 것이냐면, 정삼각형의 각각의 변을 00:00:09.000 --> 00:00:14.540 똑같은 길이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거에요 00:00:14.540 --> 00:00:18.790 제가 그린 도형이 완전히 똑바른 정삼각형은 아니지만 00:00:18.790 --> 00:00:20.110 제 말의 요점을 아셨으리라 생각해요 00:00:20.110 --> 00:00:21.430 삼등분한 선분 중 가운데 선분에는 00:00:21.450 --> 00:00:23.290 다른 정삼각형을 그리겠습니다 00:00:23.290 --> 00:00:25.510 여기 있는 중간 부분에 00:00:25.540 --> 00:00:28.640 다른 정삼각형을 그릴 거에요 00:00:28.640 --> 00:00:31.550 그러면 이런 모양이 될 거에요 00:00:31.550 --> 00:00:33.860 그리고 이 선분 위에도 00:00:33.860 --> 00:00:37.130 다른 정삼각형을 그려 볼게요 00:00:37.130 --> 00:00:40.320 원래의 정삼각형이 00:00:40.340 --> 00:00:43.320 다윗의 별처럼 생긴 도형으로 변했어요 00:00:43.370 --> 00:00:45.420 이 과정을 반복할 거에요 00:00:45.420 --> 00:00:48.390 각각의 변을 모두 삼등분하고 00:00:48.390 --> 00:00:51.490 중간의 선분에는 정삼각형을 그립니다 00:00:51.490 --> 00:00:54.150 정삼각형을 그릴게요 00:00:54.150 --> 00:00:59.280 00:00:59.280 --> 00:01:01.660 삼각형의 모든 변에 이 과정을 반복할 거에요 00:01:01.660 --> 00:01:04.560 이쪽도, 저쪽도 해 볼게요 00:01:04.560 --> 00:01:10.860 여러분이 이미 알아차렸으리라 생각하지만 명확히 하기 위해서 00:01:10.860 --> 00:01:16.270 이렇게 그려 보겠습니다 00:01:16.270 --> 00:01:20.850 이 단계가 거의 끝나가고 있어요 00:01:20.850 --> 00:01:22.950 그럼 도형이 이렇게 보일 거에요 00:01:22.990 --> 00:01:24.210 더 그려 볼 수도 있어요 00:01:24.210 --> 00:01:27.020 각각의 선분을 삼등분해서 00:01:27.020 --> 00:01:28.340 다른 정삼각형들을 그리는 겁니다 00:01:28.340 --> 00:01:32.210 이렇게요 00:01:32.210 --> 00:01:33.270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아시겠죠? 00:01:33.270 --> 00:01:37.020 이렇게 무한 반복할 수도 있겠네요 00:01:37.020 --> 00:01:39.710 이 동영상을 통해 해 보려는 것은 이 도형에서 과연 00:01:39.710 --> 00:01:40.860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생각해 보는 것입니다 00:01:40.860 --> 00:01:42.490 사실 제가 그린 도형은 00:01:42.490 --> 00:01:45.090 삼각형을 그리는 과정을 무한 반복한다면 00:01:45.090 --> 00:01:48.100 반복할 때마다 각각의 변을 00:01:48.130 --> 00:01:49.520 삼등분하는 것이죠 00:01:49.520 --> 00:01:52.460 다음번에도 삼등분을 할 것이고 00:01:52.460 --> 00:01:53.320 그리고 그 다음에는 00:01:53.320 --> 00:01:55.480 중간의 선분을 정삼각형으로 바꾸는 거에요 00:01:55.480 --> 00:01:58.240 이렇게 그리는 도형을 우리는 00:01:58.240 --> 00:02:00.200 코흐의 눈송이라고 부릅니다 00:02:00.200 --> 00:02:02.890 제가 말한 것이 정확한 발음인지는 모르겠네요 00:02:02.890 --> 00:02:05.180 코흐의 눈송이는 00:02:05.230 --> 00:02:07.810 스웨덴의 수학자였던 니엘 파비앙 헬리에 본 코흐에 의해 00:02:07.810 --> 00:02:12.490 처음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00:02:12.490 --> 00:02:14.640 확실히 제가 잘못 발음한 것 같군요 00:02:14.670 --> 00:02:17.250 가장 먼저 나온 프랙털 중 하나이죠 00:02:17.270 --> 00:02:19.850 이 눈송이는 프랙털인데 00:02:19.850 --> 00:02:22.000 프랙털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00:02:22.000 --> 00:02:23.790 얼마나 확대 또는 축소해서 보느냐와는 상관없이 00:02:23.810 --> 00:02:26.340 항상 똑같아 보이기 때문입니다 00:02:26.340 --> 00:02:29.890 이 상태로 보게 되면 00:02:29.910 --> 00:02:32.410 돌기가 난 삼각형 여러 개로 보입니다 00:02:32.410 --> 00:02:34.890 그러나 이렇게 확대를 해 보면 00:02:34.910 --> 00:02:37.860 처음과 같은 모양임을 볼 수 있죠 00:02:37.860 --> 00:02:39.840 다시 한번 확대했을때 00:02:39.860 --> 00:02:41.520 똑같은 모양이 또 보이게 될 거에요 00:02:41.580 --> 00:02:43.470 프랙털은 이렇게 어떻게 보는지 00:02:43.470 --> 00:02:46.810 얼마나 확대해서 보는지 같아 보이는 무늬를 말합니다 00:02:46.810 --> 00:02:48.700 프랙털이라고 불리는 이유이기도 하죠 00:02:48.720 --> 00:02:50.150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, 00:02:50.200 --> 00:02:53.530 왜 기하학을 공부하다가 갑자기 이런 걸 배우냐는 거에요 00:02:53.530 --> 00:02:56.790 사실 이 도형은 무한인 둘레를 가지고 있죠 00:02:56.790 --> 00:02:58.330 계속 삼각형을 그려나가다 보면, 00:02:58.370 --> 00:02:59.900 코흐의 눈송이를 만들려고 00:02:59.900 --> 00:03:03.260 계속해서 작은 삼각형들에 00:03:03.280 --> 00:03:05.240 삼각형을 그리다 보면 00:03:05.280 --> 00:03:09.910 또 다른 정삼각형들을 그리게 되는 것이죠 00:03:09.930 --> 00:03:11.680 이 도형이 무한인 둘레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보여 드리기 위해서 00:03:11.680 --> 00:03:13.440 이 변을 보도록 할게요 00:03:13.440 --> 00:03:16.000 이 변에서 00:03:16.000 --> 00:03:18.550 처음의 삼각형에서 00:03:18.550 --> 00:03:20.050 이 변이라고 생각해 볼게요 00:03:20.080 --> 00:03:21.480 길이가 5라고 해 봅시다 00:03:21.520 --> 00:03:23.930 변을 삼등분하게 되면 00:03:23.960 --> 00:03:26.290 00:03:26.310 --> 00:03:30.810 선분의 길이는 각각 00:03:30.810 --> 00:03:35.940 S/3, S/3, S/3이 될 것입니다 00:03:35.940 --> 00:03:38.820 가운데 선분에는 또 다른 정삼각형을 그릴 것이고요 00:03:38.820 --> 00:03:41.910 00:03:41.910 --> 00:03:44.090 각각의 변의 길이는 모두 S/3이 될 거에요 00:03:44.090 --> 00:03:47.000 S/3, S/3, S/3 이렇게요 00:03:47.000 --> 00:03:50.700 돌기가 하나 생겼기 때문에 00:03:50.700 --> 00:03:53.270 이제 선분이라고는 부를 수 없는 00:03:53.290 --> 00:03:56.880 새로 생긴 이 부분의 길이는 00:03:56.880 --> 00:03:59.110 전처럼 S가 아닐 거에요 00:03:59.150 --> 00:04:01.620 이제 S/3 X 4이죠 00:04:01.620 --> 00:04:03.360 전에는 S/3 X 3이었지만 00:04:03.360 --> 00:04:07.550 이제는 같은 길이의 S/3인 선분이 4개이니까요 00:04:07.550 --> 00:04:10.500 다음 단계는 00:04:10.500 --> 00:04:14.930 삼각형들을 추가한 뒤에는 00:04:14.930 --> 00:04:16.300 삼각형이 추가된 새로운 부분의 길이는 00:04:16.340 --> 00:04:23.560 S/3 X 4이므로 4/3S가 될 거에요 00:04:23.560 --> 00:04:30.950 원래의 둘레가 P0이었다면 00:04:30.950 --> 00:04:34.230 한 세트의 삼각형 돌기들이 생긴 뒤 00:04:34.230 --> 00:04:35.670 바뀐 둘레는 00:04:35.710 --> 00:04:39.880 4/3 곱하기 원래의 둘레일 거에요 00:04:39.880 --> 00:04:42.660 왜냐하면 각각의 변의 길이가 4/3만큼 커지기 때문이죠 00:04:42.660 --> 00:04:44.270 3개 의 변에 모두 적용시켰을 때 00:04:44.290 --> 00:04:46.690 각각의 변들은 4/3씩 커졌으니까 00:04:46.690 --> 00:04:48.950 새로운 둘레는 4/3만큼 커지게 될 거에요 00:04:48.950 --> 00:04:51.980 2번째로 반복해 볼게요 00:04:51.980 --> 00:04:54.470 첫 번째 그린 것의 4/3만큼일 거에요 00:04:54.470 --> 00:04:57.740 한번씩 반복할 때마다 4/3씩 커지게 되겠죠 00:04:57.790 --> 00:05:00.190 00:05:00.190 --> 00:05:03.550 전에 한 P의 4/3이 될 거에요 00:05:03.610 --> 00:05:05.590 이 과정을 무한 반복할때 00:05:05.590 --> 00:05:10.740 어떠한 수에 4/3을 무수히 많이 곱한다면, 00:05:10.740 --> 00:05:13.760 무한인 수를 얻을 수 있지요 00:05:13.760 --> 00:05:16.340 무한인 P는 00:05:16.360 --> 00:05:19.910 무한 반복한 둘레의 길이는 무한인 수일 것입니다 00:05:19.940 --> 00:05:22.140 무한인 둘레를 가진 무언가라니 00:05:22.190 --> 00:05:24.300 매우 흥미롭지요 00:05:24.300 --> 00:05:28.260 그러나 더 신기한 것은 사실 이 도형은 유한인 넓이를 가지고 있다는 거에요 00:05:28.260 --> 00:05:30.120 유한인 넓이를 갖는다는 것은 00:05:30.120 --> 00:05:32.480 일정한 면적만큼을 차지한다는 것이죠 00:05:32.480 --> 00:05:34.490 이걸 둘러싼 도형을 그린다면 00:05:34.490 --> 00:05:36.340 그 도형 이상으로 커지지는 않을 것이니까요 00:05:36.340 --> 00:05:38.960 증명을 할 것이지만 항상 하는 방법대로 하지 않고 00:05:38.960 --> 00:05:41.600 한 변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볼 거에요 00:05:41.600 --> 00:05:45.550 P1에서는 이 삼각형이 생기게 되죠 00:05:45.550 --> 00:05:49.540 그려 보면...... 00:05:49.540 --> 00:05:52.280 다음 번에는 두 개의 삼각형을 그릴 것이고요 00:05:52.310 --> 00:05:53.940 여기에도 삼각형 두 개를 더 그릴 거에요 00:05:53.940 --> 00:05:56.230 이렇게 삼각형을 그리고 00:05:56.260 --> 00:05:59.600 계속해서 그리게 된다면 00:05:59.630 --> 00:06:02.520 삼각형을 계속 추가하게 되면 00:06:02.520 --> 00:06:04.980 무수히 많은 삼각형을 그리게 될 것입니다 00:06:05.020 --> 00:06:07.070 그러나 이 이상을 넘어가진 않을 거에요 00:06:07.070 --> 00:06:11.220 이 변에서도 똑같을 거에요 00:06:11.220 --> 00:06:13.840 이 변에서도요 00:06:13.870 --> 00:06:17.540 이 변에서도 00:06:17.540 --> 00:06:19.550 이 변에서도 00:06:19.550 --> 00:06:22.330 이 변에서도 똑같을 거에요 00:06:22.350 --> 00:06:24.590 아무리 무수히 많은 삼각형을 그린다고 해도 00:06:24.590 --> 00:06:27.120 코흐의 눈송이는 00:06:27.160 --> 00:06:30.130 삼각형을 둘러싸는 육각형보다 큰 넓이를 갖지는 못할 거에요 00:06:30.130 --> 00:06:32.070 또는 그렇게 생긴 도형이 넓이보다 00:06:32.070 --> 00:06:34.530 더 큰 넓이를 갖지 못하거나요 00:06:34.530 --> 00:06:36.450 임의의 도형을 그리고 있어요 00:06:36.450 --> 00:06:38.200 육각형의 바깥에 그리고 싶다면 00:06:38.200 --> 00:06:39.780 원을 그릴 수도 있고요 00:06:39.780 --> 00:06:44.630 파란색으로 그린 도형과 분홍색으로 그린 육각형은 00:06:44.630 --> 00:06:46.820 정해진 넓이가 있지요 00:06:46.820 --> 00:06:49.480 그러므로 코흐의 눈송이는 언제나 00:06:49.480 --> 00:06:52.450 아무리 삼각형을 추가한다 하더라도 그 이상으로 커지지는 않게 되는 것이죠 00:06:52.450 --> 00:06:55.380 몇 가지 사항들을 정리해 볼게요 00:06:55.420 --> 00:06:56.330 첫쨰, 이 도형은 프랙털이고 00:06:56.330 --> 00:06:58.760 어떻게 확대하든지 똑같아 보일 거에요 00:06:58.780 --> 00:07:04.950 둘째, 둘레는 무한이고 넓이는 유한이에요 00:07:04.950 --> 00:07:07.830 이제 여러분께서는 "음, 그거 참 추상적인 도형이네 00:07:07.830 --> 00:07:10.120 이딴 건 세상에 존재하지 않을 텐데" 라고 하실 지도 모르겠네요 00:07:10.120 --> 00:07:13.240 프랙털의 세계에서 흔히 거론되는 00:07:13.240 --> 00:07:14.820 한 실험이 있었는데 00:07:14.870 --> 00:07:17.770 영국의 둘레를 구하거나 00:07:17.820 --> 00:07:19.200 섬의 둘레를 구할 수 있느냐에 대한 것이었어요 00:07:19.200 --> 00:07:21.170 이 분야에서 전문가는 아니지만 00:07:21.170 --> 00:07:22.730 영국은 이렇게 생겼죠 00:07:22.730 --> 00:07:24.230 영국 땅이 이렇게 생겼다고 생각해 보세요 00:07:24.230 --> 00:07:26.230 처음에는 그냥 대략적으로 00:07:26.230 --> 00:07:27.480 이 길이를 구할 수 있겠지요 00:07:27.550 --> 00:07:32.350 이 길이 더하기 이 길이를 구할 수 있겠고 00:07:32.350 --> 00:07:36.070 이 길이들을 모두 합쳤을 거에요 00:07:36.070 --> 00:07:37.660 보세요 00:07:37.660 --> 00:07:38.590 유한인 둘레를 갖고 00:07:38.620 --> 00:07:40.300 유한인 넓이를 갖는 것처럼 보이지만 00:07:42.340 --> 00:07:43.720 여러분은 말할 거에요 "그렇게 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지, 00:07:43.750 --> 00:07:45.380 그것보다 더 정확하게 구해야지" 라고요 00:07:45.400 --> 00:07:46.960 이렇게 대략적으로 하는 대신에 00:07:46.980 --> 00:07:48.680 더 짧은 선들을 그어서 00:07:48.680 --> 00:07:50.740 00:07:50.770 --> 00:07:52.570 해안선과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00:07:52.620 --> 00:07:55.010 여러분은 "좋아, 조금 더 정확한 측정이야." 라고 말할 거에요 00:07:55.010 --> 00:07:58.730 그러나 더 확대시켜 본다면 00:07:58.760 --> 00:08:01.780 더욱더 가까이 확대시켜 본다면 00:08:01.780 --> 00:08:03.980 해안선은 이렇게 생겼을 거에요 00:08:04.020 --> 00:08:08.190 이렇게 작은 돌기들이 있겠죠 00:08:08.260 --> 00:08:11.150 처음으로 했을 때는 00:08:11.150 --> 00:08:13.580 그저 이런 선의 길이를 재는 것이었으나 00:08:13.580 --> 00:08:15.740 여러분은 "그건 해안선의 정확한 둘레가 아니잖아" 라고 할 것이고요 00:08:15.740 --> 00:08:17.620 더 많은 선들로 둘러싸야 할 거에요 00:08:17.650 --> 00:08:18.850 이렇게 해서 00:08:18.900 --> 00:08:25.660 정확한 해안선의 둘레를 알아야 할 거에요 00:08:25.660 --> 00:08:29.150 그럼 여러분께서 "좀 더 정확한 둘레가 되겠구나" 라고 하시겠죠 00:08:29.150 --> 00:08:32.190 그러나 해안선을 좀 더 확대시켜 본다면 00:08:32.190 --> 00:08:35.050 또 우리가 했던 것이 정확한 측정은 아니었음이 드러나겠죠 00:08:35.050 --> 00:08:37.330 이렇게 들쭉날쭉할 거에요 00:08:37.360 --> 00:08:39.450 혹은 이렇게요 00:08:39.450 --> 00:08:42.810 이런 대략적인 선분을 그려 측정하는 것보다는 00:08:42.890 --> 00:08:43.850 여러분께서는 00:08:43.900 --> 00:08:46.170 조금 더 확대시켜 더 가까이 둘러싸야겠다고 생각하실 거에요 00:08:46.220 --> 00:08:48.270 그리고 이렇게 계속 확대시키고 선분을 그리다 보면 00:08:48.310 --> 00:08:50.150 원자 단위의 단계까지 도달하게 될 거에요 00:08:50.150 --> 00:08:54.730 그러므로 사실 어떤 섬 또는 00:08:54.770 --> 00:08:58.790 대륙의 해안선은, 프랙털 같은 개념입니다 00:08:58.840 --> 00:09:01.210 그리고 그것을 다르게 생각해 보면 00:09:01.210 --> 00:09:03.130 거의 무한한 둘레를 가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00:09:03.180 --> 00:09:04.150 어떤 정도에 다다르게 되면 00:09:04.220 --> 00:09:05.480 원자 단위가 될 것인데 00:09:05.520 --> 00:09:06.610 그것을 '프랙털이다'라고는 말할 수 없지만 00:09:06.660 --> 00:09:08.510 프랙털 같은 현상입니다 00:09:08.540 --> 00:09:10.390 생각해 보면 매우 흥미로운 문제이지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