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00:00:17,846 --> 00:00:20,073 안녕하세요, 저는 팀 몰리입니다. 2 00:00:20,073 --> 00:00:22,350 저는 초등학생이 외국어를 배우는데 3 00:00:22,350 --> 00:00:29,113 아주 혁신적이면서 기존과는 다른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고 싶군요. 4 00:00:29,113 --> 00:00:31,979 현재 영국에 많은 초등학교가 있습니다. 5 00:00:31,979 --> 00:00:35,390 교육과정으로 외국어수업을 하고 있는 건 훌륭한 일이죠. 6 00:00:35,390 --> 00:00:37,845 그러나 능력의 차이가 있습니다. 7 00:00:37,875 --> 00:00:45,603 많은 초등학교 선생님들은 매우 유능하고 숙련되었으며 훌륭하지만, 8 00:00:45,655 --> 00:00:49,139 선생님들이 외국어 교습에 대한 어떤 정규교육도 존재하지 않고 9 00:00:49,194 --> 00:00:52,851 대부분의 선생님들이 외국어로 말을 할 줄 모릅니다. 10 00:00:52,883 --> 00:00:56,674 이와 반대로 중등학교의 많은 외국어 선생님들은 11 00:00:56,889 --> 00:00:59,118 중등교육 자격검정시험반을 효과적으로 가르치지만 12 00:00:59,118 --> 00:01:01,189 7살짜리 아이들 앞으로 데려오면 13 00:01:01,189 --> 00:01:05,455 선생님들은 낯선 환경에 처한 듯 불편을 느끼게 되고 14 00:01:05,563 --> 00:01:08,403 제대로 가르치지 못하겠죠. 그럴 만도 합니다. 15 00:01:08,403 --> 00:01:11,756 이런 식으로 능력적인 문제가 있습니다. 16 00:01:11,771 --> 00:01:21,085 그래서 지난 몇 년 동안 제가 참여한 "도움닫기 언어"프로젝트는 17 00:01:21,129 --> 00:01:26,237 초등학생들에게 에스페란토어를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18 00:01:26,237 --> 00:01:30,082 이 강연제목은 일부 부모들을 대신해서 19 00:01:30,082 --> 00:01:34,503 '건강한 회의주의'라고 할 수 있는 면모를 보여주죠. 20 00:01:34,503 --> 00:01:36,453 "애한테 대체 뭘 가르친다는 거예요?" 21 00:01:36,453 --> 00:01:40,536 "도대체 왜? 그게 스페인어인가요? 왜요?!" 22 00:01:40,536 --> 00:01:44,004 이 질문들 모두 합당합니다. 제가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리죠. 23 00:01:44,004 --> 00:01:49,686 먼저 이 수업은 에스페란토어로 말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 아닙니다. 24 00:01:49,686 --> 00:01:52,304 일상생활이나 업무에서 에스페란토어를 사용하는 25 00:01:52,304 --> 00:01:54,480 유창한 에스페란토 화자들이 있는 곳으로 26 00:01:54,480 --> 00:01:56,611 아이들은 내보내려는 것이 목표가 아닙니다. 27 00:01:56,611 --> 00:01:59,367 그게 요점이 아니죠. 28 00:01:59,420 --> 00:02:01,829 많은 아이들의 대다수가 29 00:02:01,829 --> 00:02:04,688 일생에 다른 에스페란토어 화자를 만날 일은 없을 것입니다. 30 00:02:04,688 --> 00:02:07,468 그래도 괜찮습니다. 그게 요점이 아니니까요. 31 00:02:07,517 --> 00:02:11,268 그렇다면 에스페란토어 수업은 뭘 위한 걸까요? 바로 이 모든 것이죠. 32 00:02:11,346 --> 00:02:16,498 핵심은 언어 인식입니다. 33 00:02:16,498 --> 00:02:23,128 에스페란토어는 제가 경험한 다른 언어에 비해 아주 쉬운 언어입니다. 34 00:02:23,128 --> 00:02:25,901 저는 외국어 몇 개를 배웠고 몇 개를 가르쳤거든요. 35 00:02:25,901 --> 00:02:31,101 에스페란토어는 단순하면서 쉽고 빠르게 배울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되었죠. 36 00:02:31,101 --> 00:02:33,778 에스페란토어는 제가 그동안 봤던 어떤 언어보다 37 00:02:33,778 --> 00:02:36,525 그 규모로 볼 때 빠르고 쉽게 익힐 수 있어요. 38 00:02:36,525 --> 00:02:41,084 그래서 아이들이 암기하는 단계를 빨리 넘어가고 39 00:02:41,084 --> 00:02:44,378 에스페란토어를 실제로 창의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40 00:02:44,378 --> 00:02:46,672 대단한 일이죠. 41 00:02:46,672 --> 00:02:50,966 또한 배우고 있는 언어와 에스페란토어를 42 00:02:50,966 --> 00:02:54,953 바꾸어 사용함으로써 두 언어의 동일한 구성을 찾게 하는 방식으로 43 00:02:54,953 --> 00:02:57,053 지적 단련 훈련에도 도움을 줍니다. 44 00:02:57,053 --> 00:02:59,664 이런 모든 능력을 단순한 언어로 키울 수 있어요. 45 00:02:59,664 --> 00:03:01,995 그리고 나중에 다른 언어를 배울 때 46 00:03:01,995 --> 00:03:04,017 언어능력이 발휘될 것입니다. 47 00:03:04,017 --> 00:03:06,712 성공적이고 포괄적인 경험을 하는 거죠. 48 00:03:06,712 --> 00:03:10,312 그러니까 어떤 반에 가더라도 49 00:03:10,312 --> 00:03:13,395 반 아이들의 다수가 50 00:03:13,395 --> 00:03:16,713 스스로 에스페란토어로 사고할 수 있고 51 00:03:16,713 --> 00:03:19,446 다른 언어에 비해 52 00:03:19,446 --> 00:03:22,179 에스페란토어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53 00:03:22,179 --> 00:03:24,912 성공적이고 포괄적인 경험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. 54 00:03:24,912 --> 00:03:28,878 아이들의 반응이나 선생님, 교장선생님들의 조언, 55 00:03:28,878 --> 00:03:32,152 변화를 알아 챈 학부모들의 의견에서 56 00:03:32,169 --> 00:03:36,255 학업 평가에서도 57 00:03:36,255 --> 00:03:38,779 효과가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. 58 00:03:38,779 --> 00:03:41,112 그럼 블룸의 분류체계를 잠시 보실까요? 59 00:03:41,112 --> 00:03:43,210 많은 교과과정의 근간이 되고 있죠. 60 00:03:43,210 --> 00:03:45,766 맨 밑에서 시작해 가장 윗 단계로 나아갑니다. 61 00:03:45,766 --> 00:03:48,212 (표: 암기>이해>적용> 분석>평가>창작) 62 00:03:48,212 --> 00:03:49,968 초등학생의 언어교육은 63 00:03:49,968 --> 00:03:52,535 맨아래의 암기 단계에 끼어 정체되어 있습니다. 64 00:03:52,535 --> 00:03:57,161 언어교육은 엄청난 암기가 필요하죠. 65 00:03:57,161 --> 00:03:59,780 동사활용, 남성명사, 여성명사, 66 00:03:59,780 --> 00:04:04,737 철자법, 발음 등 대단히 많은 것을 외워야 합니다. 67 00:04:04,737 --> 00:04:10,467 더 높은 단계의 능력기술로 나아가기 이전에 말이죠. 68 00:04:10,491 --> 00:04:13,514 초등학교의 여러 언어 수업에서 69 00:04:13,514 --> 00:04:17,060 불어나 스페인어, 중국어를 가르치려고 한다면 70 00:04:17,060 --> 00:04:19,128 맨 처음의 암기단계에서 꽉 막히게 되죠. 71 00:04:19,128 --> 00:04:22,062 그리고 창작단계까지는 가지도 못할겁니다. 72 00:04:22,062 --> 00:04:24,117 아이들이 그전에 언어에 대한 흥미를 73 00:04:24,117 --> 00:04:26,172 잃을 위험이 있습니다. 74 00:04:26,172 --> 00:04:28,709 에스페란토어는 필요한 암기 분량을 최소화해서 75 00:04:28,709 --> 00:04:30,965 보다 흥미롭고 재미있는 더 높은 단계로 76 00:04:30,965 --> 00:04:32,711 빨리 넘어가도록 합니다. 77 00:04:32,711 --> 00:04:37,346 아이들이 에스페란토어를 배우면 영어를 읽고 쓰기도 도움이 되죠. 78 00:04:37,346 --> 00:04:39,848 제가 아는 5살 난 아이들은 79 00:04:39,848 --> 00:04:42,350 영어로 읽고 쓰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80 00:04:42,350 --> 00:04:47,172 에스페란토어를 읽게 되면서 영어를 읽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 81 00:04:47,205 --> 00:04:49,281 에스페란토어가 영어보다 훨씬 쉬워서 82 00:04:49,281 --> 00:04:51,314 영어를 다루는 것에 아이들의 자신감을 83 00:04:51,314 --> 00:04:52,630 크게 키워주었기 때문이죠. 84 00:04:52,630 --> 00:04:55,328 제가 가르치는 9살짜리 아이들은 85 00:04:55,328 --> 00:04:58,877 "다음 문장에서 형용사에 동그라미 하세요"라는 문제를 보고 86 00:04:58,877 --> 00:05:00,119 가장 먼저 하는 것이 87 00:05:00,119 --> 00:05:02,881 머릿속에서 그 문장을 에스페란토어로 바꾸는 것입니다. 88 00:05:02,881 --> 00:05:05,594 왜냐하면 에스페란토어에서 형용사를 찾기가 더 쉽거든요. 89 00:05:05,594 --> 00:05:08,427 그래서 모국어 능력에도 도움을 줍니다. 90 00:05:08,427 --> 00:05:12,934 심지어 수리적 지식을 배울 때도 도움이 됩니다. 91 00:05:12,934 --> 00:05:14,831 에스페란토어로 숫자를 말하는 방법은 92 00:05:14,831 --> 00:05:17,818 숫자가 한 데 합쳐져 있는 방법을 분명히 알도록 도와줍니다. 93 00:05:17,818 --> 00:05:20,627 5살이면 더하기와 십 자리 수와 한 자리 수를 배우고 94 00:05:20,631 --> 00:05:21,735 그렇다면 도움이 될 겁니다. 95 00:05:21,735 --> 00:05:22,840 잠시 후에 사례를 말씀드릴게요. 96 00:05:22,840 --> 00:05:25,844 에스페란토어는 이 모든 효과를 수업에서 제공합니다. 97 00:05:25,844 --> 00:05:28,087 거의 동반작용이긴 하지만 98 00:05:28,087 --> 00:05:30,177 다른나라의 문화를 접할 수 도 있죠. 99 00:05:30,177 --> 00:05:32,338 어쨌든 타문화에 대한 경험이 100 00:05:32,338 --> 00:05:34,499 외국어 공부에 있어서 가장 주요한 동기니까요. 101 00:05:34,499 --> 00:05:36,660 저는 줄곧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102 00:05:36,660 --> 00:05:43,164 영국, 슬로베니아, 헝가리, 독일학교와 함께 하는 화상 수업에도 참여했죠. 103 00:05:43,221 --> 00:05:46,545 코메니우스 프로젝트가 아주 많은데요. 104 00:05:46,545 --> 00:05:51,473 코메니우스는 유럽연합에서 초등학교에 주는 지원금 이름입니다. 105 00:05:51,473 --> 00:05:54,060 코메니우스는 유럽 전역의 학교들을 연결시키죠. 106 00:05:54,060 --> 00:05:58,070 아동과 성인들이 중간언어로 107 00:05:58,070 --> 00:06:02,080 에스페란토어를 사용하는 코메니우스 프로젝트가 많죠. 108 00:06:02,080 --> 00:06:06,090 이렇게 에스페란토어가 수업에 많은 것을 제공하죠. 109 00:06:06,138 --> 00:06:09,727 자, 이제 비유를 하나 들어볼게요: 거기 갈 수 없는 방법 110 00:06:09,805 --> 00:06:12,675 이 남자는 바순 연주자입니다. 111 00:06:12,675 --> 00:06:15,284 바순 연주에서 크나 큰 즐거움을 얻는 사람이죠. 112 00:06:15,284 --> 00:06:17,195 어쩌면 연주로 먹고 살 수도 있어요. 113 00:06:17,195 --> 00:06:19,076 만약에 여러분이 자녀를 114 00:06:19,112 --> 00:06:22,666 바순 전문연주자로 키우고 싶다고 해봅시다. 115 00:06:22,666 --> 00:06:27,947 그 목적을 달성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7살짜리 애한테 바순을 주지 않는 거죠. 116 00:06:28,001 --> 00:06:31,428 "해봐, 조니. 연주 좀 들려다오!" 그렇게 하면 잘 통하지 않겠죠. 117 00:06:31,435 --> 00:06:34,601 바순은 크고 무거워서 어른도 다루기 힘든 악기잖아요. 118 00:06:34,601 --> 00:06:36,983 아이들한테는 정말로 연주가 어렵죠. 119 00:06:36,983 --> 00:06:39,268 외워야 될 것도 많고, 운지법도 외워야 하고 120 00:06:39,268 --> 00:06:41,784 불어서 끽끽거리는 소리조차 내기 어려워서 121 00:06:41,784 --> 00:06:43,769 내고 싶은 음정은 단념해야겠죠. 122 00:06:43,769 --> 00:06:47,739 그런데도 바순을 시키고 싶어서 6개월, 1년을 내리 연습시키면 123 00:06:47,739 --> 00:06:49,951 결과는 뻔할 겁니다. "하기 싫어." 124 00:06:49,951 --> 00:06:52,160 "난 못해.", "난 음악에 소질이 없어." 125 00:06:52,160 --> 00:06:53,318 "난 음악 안할래." 126 00:06:53,318 --> 00:06:56,550 물론 당연히 그렇게 하지 않죠. 쉬운 것 부터 시작합니다. 127 00:06:56,550 --> 00:06:59,768 초등학교에서 리코더 배웠던 분, 손 들어보세요. 128 00:06:59,768 --> 00:07:01,708 저는 배웠어요. 129 00:07:01,708 --> 00:07:03,351 그래요. 거의 다 배우셨네요. 130 00:07:03,351 --> 00:07:07,295 아직도 취미로 리코더를 불거나 악단에서 연주하는 분? 131 00:07:07,295 --> 00:07:11,501 아, 한두분 계시네요.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많은데요? 132 00:07:11,501 --> 00:07:17,148 소수가 계속 리코더를 연주하긴 하지만 우리 대부분은 그렇지 않잖아요. 133 00:07:17,148 --> 00:07:20,685 그럼 이게 초등교육의 큰 실패일까요? 134 00:07:20,685 --> 00:07:24,686 우리가 리코더를 왜 배웠을까요? 못 불어도 사는데 지장없는데요. 135 00:07:24,686 --> 00:07:26,171 요점은 그게 아니죠. 136 00:07:26,171 --> 00:07:28,984 리코더를 배우면서 우리는 음악에 대해 배웁니다. 137 00:07:28,984 --> 00:07:33,977 장조와 단조를 배우고 악보를 읽기 시작하고 리듬과 박자표를 알게되죠. 138 00:07:34,000 --> 00:07:36,003 다른사람들과 박자를 맞추고 화음을 이루는 법을 배웠죠. 139 00:07:36,003 --> 00:07:41,401 이 단순한 악기에 음악 지식의 모든 것이 들어있어요. 140 00:07:41,401 --> 00:07:43,621 쉽게 배운 음악 지식을 바순이나 141 00:07:43,621 --> 00:07:47,118 파이프 오르간이며 연주하고 싶은 모든 악기에 적용할 수 있을 겁니다. 142 00:07:47,118 --> 00:07:53,018 그러니까 비유하면 아이들에게 불어 수업은 바순 연주에요. 143 00:07:53,018 --> 00:07:56,561 스페인어 수업도 바순이고요. 144 00:07:56,561 --> 00:08:02,014 중국어는 특히 훨씬 더 크고 음도 더 많은 바순이겠죠.(웃음) 145 00:08:02,103 --> 00:08:06,325 에스페란토어는 리코더에요. 그게 다에요. 146 00:08:06,325 --> 00:08:08,836 다음으로 넘어가기 전에 말씀드리고 싶은 게 있어요. 147 00:08:08,836 --> 00:08:11,737 글자가 화면에 나올테니 화면을 함께 봐주세요. 148 00:08:11,737 --> 00:08:13,551 그냥 여기에 서서 읽어 드릴게요. 149 00:08:13,551 --> 00:08:16,298 프레젠테이션이 아니고 보고서를 크게 읽어드리는 겁니다. 150 00:08:16,298 --> 00:08:17,784 금새 지루해 지네요. 151 00:08:17,784 --> 00:08:20,635 아까 말했듯이 곧 화면으로 글을 보여드릴 거고 152 00:08:20,635 --> 00:08:22,435 그 문장을 제가 읽어드릴 겁니다. 153 00:08:22,435 --> 00:08:23,786 조금만 참으세요. 하나 뿐입니다. 154 00:08:23,786 --> 00:08:27,213 읽어드릴 글은 맨체스터 대학의 교육학과에서 155 00:08:27,213 --> 00:08:31,285 "도움 닫기 언어"프로젝트를 평가한 뒤에 작성한 보고서의 일부입니다. 156 00:08:31,285 --> 00:08:35,237 맨체스터 대학의 연구자들은 157 00:08:35,467 --> 00:08:40,085 학교 A를 학생들이 18개월 동안 에스페란토어를 배운 곳으로 설정하고 158 00:08:40,205 --> 00:08:43,143 학생들이 2년간 불어를 배운 학교를 학교 B라고 했습니다. 159 00:08:43,642 --> 00:08:46,609 학교 B의 학생들은 에스페란토어를 막 배우기 시작했죠. 160 00:08:46,609 --> 00:08:49,419 연구자들이 불어 실험을 했는데, 결과가 이랬습니다. 161 00:08:49,419 --> 00:08:53,118 "도움닫기 언어"가 외국어를 배우는데 도움이 되는가?" 162 00:08:53,118 --> 00:08:55,953 "학생들에게 다음의 불어 문장을 해석하도록 시켰다." 163 00:08:55,953 --> 00:08:59,648 코끼리의 귀는 아주 크고 코는 아주 길다. 164 00:08:59,685 --> 00:09:03,922 "그 결과 불어 문장 전체를 완벽하게 해석해 낸 유일한 아이들은 165 00:09:03,970 --> 00:09:06,086 흥미롭게도 학교A 출신이었다." 166 00:09:06,086 --> 00:09:08,985 에스페란토어는 배웠지만 불어를 배운 적이 없던 학생들이죠. 167 00:09:08,985 --> 00:09:14,023 "이 두 어린이는 흥미로운 메타언어적 해석방법을 사용했다. 168 00:09:14,060 --> 00:09:15,649 동일 어원과 구두법, 맥락. 169 00:09:15,649 --> 00:09:18,861 즉, 에스페란토어를 통해서 언어능력을 습득했던 것이죠. 170 00:09:18,861 --> 00:09:22,088 "지난 1년동안 불어를 배웠던 학교 B의 아이들은 171 00:09:22,088 --> 00:09:26,905 불어시험에서 학교A의 아이들에 비해 아주 조금 더 나은 실력만 보였다." 172 00:09:26,921 --> 00:09:29,640 그러니까 아이들이 에스페란토어를 통해 얻은 언어능력이 173 00:09:29,640 --> 00:09:31,956 불어를 줄곧 배웠던 아이들을 174 00:09:31,956 --> 00:09:34,951 불어 시험에서 따라잡을 수 있게 도움을 줬던 것이죠. 175 00:09:34,951 --> 00:09:37,152 그렇다면 에스페란토가 왜 특별할까요? 176 00:09:37,152 --> 00:09:38,986 왜 언어능력에 도움이 될까요? 177 00:09:38,986 --> 00:09:40,404 간단하게 예를 들어보죠. 178 00:09:40,404 --> 00:09:42,454 여기, 맨 위쪽에는 숫자가 있습니다. 179 00:09:42,454 --> 00:09:44,254 우누, 두, 트리, 크바, 크빈, (일, 이, 삼, 사, 오, 180 00:09:44,254 --> 00:09:46,203 세스, 셉, 오크, 나우, 데크 육, 칠, 팔, 구, 십) 181 00:09:46,203 --> 00:09:48,553 이정도만 기억하면 됩니다. 182 00:09:48,553 --> 00:09:53,726 그런데 이 만큼을 외워놓으면, 99까지 필요한 모든 수를 알게 되는 것이죠. 183 00:09:53,751 --> 00:09:57,253 더 배워야 할 것이 없습니다. 이제 기본적인 것을 적용하면 되요. 184 00:09:57,253 --> 00:10:00,987 11, 12, 13은 <뎈 아누(10+1)>, <뎈 두(10+2)>, <뎈 트리(10+3>죠. 185 00:10:00,987 --> 00:10:03,782 말 그대로 하면 <십 일>, <십 이>, <십 삼>이죠. 186 00:10:03,782 --> 00:10:07,481 계속 숫자를 세어 <두 뎈>까지 세면 이건 말 그대로 <이 십>이 되죠. 187 00:10:07,481 --> 00:10:08,845 그리고 21은 <두 뎈 우누(이 십 일)>, 188 00:10:08,845 --> 00:10:10,209 22는 <두 뎈 두(이 십 이)> 같은 식으로 189 00:10:10,209 --> 00:10:11,574 99까지 계속 세면 되요. 190 00:10:11,574 --> 00:10:15,421 백 자리 수, 십 자리 수, 한 자리 수를 배우고 있는 아이들은 191 00:10:15,421 --> 00:10:18,889 실제로 숫자를 에스페란토어로 해석합니다. 192 00:10:18,889 --> 00:10:20,404 수업에서 아이들이 실제로 그렇게 해요. 193 00:10:20,404 --> 00:10:25,121 "음, 27이 <두 데크 셉>이면 <두 데크>는 <이십>이니까 194 00:10:25,121 --> 00:10:26,405 2가 십 자리 수 자리에 있고 195 00:10:26,405 --> 00:10:28,238 7이 한 자리 수 자리에 있구나." 196 00:10:28,238 --> 00:10:30,288 이런 식으로 숫자를 에스페란토어로 해석함으로써 197 00:10:30,288 --> 00:10:35,683 아이들이 27의 2가 무엇을 뜻하는 지 정확하게 알게되는 겁니다. 198 00:10:35,765 --> 00:10:39,482 그럼 아랫쪽에 적혀있는 "세스 데크 트리"가 뭔지 아시는 분? 199 00:10:39,490 --> 00:10:46,790 "칠십삼"! 아, "육십삼"인데요 대답해 주신 건 감사해요. 200 00:10:48,032 --> 00:10:50,326 이런 식으로 에스페란토어가 201 00:10:50,326 --> 00:10:53,449 암기해야하는 분량을 최소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죠. 202 00:10:53,449 --> 00:10:57,754 "페트로"라는 단어를 배우면 "페트리노"라는 단어를 얻을 수 있죠. 203 00:10:57,754 --> 00:11:00,525 어미에 "이노"가 붙으면 여성형이라는 의미입니다. 204 00:11:00,525 --> 00:11:02,729 그럼 "페트리노"는 "엄마"가 되는 거죠. 205 00:11:02,729 --> 00:11:04,415 단어를 따로 익히지 않아도 됩니다. 206 00:11:04,415 --> 00:11:08,628 "인스트리스토"는 "선생님"인데요. 207 00:11:08,628 --> 00:11:11,370 선생님이 여성이라면 "이노"를 붙이고 싶을 거예요. 208 00:11:11,370 --> 00:11:14,200 여선생님을 "인스트리스티노" 라고 하면 되죠. 209 00:11:14,200 --> 00:11:18,066 여성형을 표현하고 싶으면, 이런 식으로 단어 뒤에 "-이노"를 사용하면 돼요. 210 00:11:18,066 --> 00:11:21,651 "훈도", 독일어 화자라면 "개"인 줄 아실텐데, 211 00:11:21,651 --> 00:11:24,618 "훈디노"는 "강아지"입니다. 212 00:11:24,618 --> 00:11:27,585 어미 "-이도"는 어린 것, 새끼라는 의미가 있습니다. 213 00:11:27,585 --> 00:11:30,552 그럼 "카토"라는 단어에서 "카티도", 즉 "새끼고양이"라는 단어가 되겠죠. 214 00:11:30,552 --> 00:11:33,514 또 "쿠니클로," 라틴어를 하신 분이나 이탈리아어 화자들은 아실텐데, 215 00:11:33,514 --> 00:11:37,833 이건 "토끼"라는 단어이고 "쿠니클리도"는 "새끼 토끼"이지요. 216 00:11:37,833 --> 00:11:41,068 저는 25년동안 불어를 썼고, 217 00:11:41,068 --> 00:11:43,684 프랑스에서 살았고 가족들이 영어와 불어 두 언어를 모두 사용했지만 218 00:11:43,684 --> 00:11:48,945 "새끼 토끼"라는 불어 단어를 바로 생각해 내지는 못합니다. 219 00:11:48,945 --> 00:11:51,249 토끼는 불어로 아는데, 새끼토끼는 몰라요. 220 00:11:51,249 --> 00:11:54,319 불어로 단어가 생각이 안나는데, 에스페란토어에서는 분명하죠. 221 00:11:54,319 --> 00:11:56,041 도저히 모를 수가 없겠죠! 222 00:11:56,041 --> 00:11:57,763 에스페란토어에서는 아주 분명하니까요. 223 00:11:57,763 --> 00:11:59,486 "콘텐타"는 "행복"인데요, 224 00:11:59,486 --> 00:12:02,199 "말콘텐타"에서의 접두사 "-말"은 반대의 의미가 있습니다. 225 00:12:02,199 --> 00:12:03,399 그렇다면 "말콘텐타"는 "불행"이 되죠. 226 00:12:03,399 --> 00:12:05,854 마찬가지로 "그란다"가 "크다"면 227 00:12:05,854 --> 00:12:08,533 에스페란토어 "말그란다"는 "작다"겠지요. 228 00:12:08,533 --> 00:12:10,314 단어를 따로 따로 배울 필요가 없다니까요. 229 00:12:10,314 --> 00:12:14,570 에스페란토어의 형용사는 항상 하나를 알면 하나는 덤으로 알 수 있죠. (웃음) 230 00:12:14,570 --> 00:12:17,449 접두사"-말(mal)"하나만 가지고도 231 00:12:17,449 --> 00:12:20,084 우리는 외워야 하는 단어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어요. 232 00:12:20,084 --> 00:12:23,365 이건 에스페란토어의 일부분일 뿐이에요. 233 00:12:23,365 --> 00:12:25,882 하지만 이런 원칙이 언어 전체를 관통하고 있습니다. 234 00:12:25,882 --> 00:12:31,598 저는 불어나 다른 언어를 배우는 것이 235 00:12:31,598 --> 00:12:34,476 더하기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. 236 00:12:34,476 --> 00:12:37,082 새로운 단어를 알게되면, 발음을 익히고, 철자를 외우고 237 00:12:37,082 --> 00:12:40,547 뜻을 외워서 내 단어창고에 하나를 더해 나가는 거에요. 238 00:12:40,547 --> 00:12:43,482 반면 에스페란토어를 배우는 것은 곱하기 과정입니다. 239 00:12:43,482 --> 00:12:46,748 새 단어를 하나씩 알 때마다 새 단어가 내가 이미 알고 있는 모든 단어와 240 00:12:46,748 --> 00:12:48,598 재조합되고 불어나게 됩니다. 241 00:12:48,598 --> 00:12:50,065 따라서 단어 한 개를 알게 되는 게 아니라 242 00:12:50,065 --> 00:12:52,965 표현 능력의 새로운 영역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. 243 00:12:52,965 --> 00:12:57,376 이것은 초등학생들에게도 적용이 되어서 244 00:12:57,376 --> 00:13:00,265 아이들은 단어와 문장을 반복해서 익히는 것에서 맴돌지 않고 245 00:13:00,265 --> 00:13:04,272 에스페란토어를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단계에 246 00:13:04,272 --> 00:13:08,103 금새 도달할 수 있습니다. 훨씬 흥미로운 공부가 되는 것이죠. 247 00:13:08,103 --> 00:13:10,287 적절한 예제가 하나 있습니다. 248 00:13:10,287 --> 00:13:13,015 제 수업에서 에스페란토어를 3개월 쯤 배운 249 00:13:13,015 --> 00:13:17,044 8살짜리 학생이 문법적으로 완벽한 에스페란토어로 수업중 야유를 했죠. 250 00:13:17,044 --> 00:13:22,777 그 때 제가 지시를 하면 학생들이 지시에 따라서 행동하고, 251 00:13:22,792 --> 00:13:25,037 자기들의 행동을 저에게 이야기하는 활동을 하고 있었죠. 252 00:13:25,037 --> 00:13:28,907 제가 명령형을 주면, 학생들은 동사 현재형을 활용합니다. 예를들어, 253 00:13:28,907 --> 00:13:33,212 제가 "스타루!"하면 학생들이 모두 일어서서 "미 스타라스!"라고 말하죠. 254 00:13:33,212 --> 00:13:37,429 제가 "시두!"라면 학생들은 자리에 앉아 "미 시다스!"라고 말합니다. 255 00:13:37,429 --> 00:13:40,952 제가 "살투!"라고 하면 학생들은 "미 살타스! 미 살타스!"라고 하죠. 256 00:13:40,952 --> 00:13:43,302 그래서 제가 "좋아, "실랜투!"(조용히 해)"라고 했더니 257 00:13:43,302 --> 00:13:46,117 학생들 모두 "미 실랜타스!"라고 하는데, 258 00:13:46,117 --> 00:13:48,852 조니라는 아이 혼자서 259 00:13:48,852 --> 00:13:51,587 "미 네 실랜타스!"(저는 조용히 하지 않아요)"라고 하는 거예요. 260 00:13:51,587 --> 00:13:54,324 저는 딜레마에 빠졌습니다. 261 00:13:54,324 --> 00:13:57,519 조니를 혼내야 하나, 이 애를 칭찬해야 하나? 262 00:13:57,519 --> 00:14:00,187 왜냐하면 조니는 학습하고 있는 언어에서 문법적으로 정확한 말로 263 00:14:00,187 --> 00:14:03,135 반 아이들 전체를 웃게 만들었으니까요. 264 00:14:03,135 --> 00:14:04,490 언어 선생님의 입장에서 보면 265 00:14:04,490 --> 00:14:07,919 꿈이 이뤄진 얘기에요. 이게 우리가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이잖아요. 266 00:14:07,919 --> 00:14:12,485 그래서 전 최대한 "약오른 흉내"를 내며, "비! 실랜투!"라고 말했죠. 267 00:14:12,485 --> 00:14:14,884 그랬더니 조니가 "네, "미 실랜타스!""라고 했죠. 268 00:14:14,884 --> 00:14:20,802 이런 일이 제 불어 수업에서는 단 한번도 일어나지 않았어요. 269 00:14:20,802 --> 00:14:23,057 이건 제가 불어 가르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서 그런 것은 아니에요. 270 00:14:23,057 --> 00:14:25,312 불어 수업하는 것 좋아합니다. 271 00:14:25,312 --> 00:14:27,603 아이들이 불어 배우는 것을 싫어해서 그런 것도 아니에요. 272 00:14:27,603 --> 00:14:29,894 저는 애들이 불어를 좋아한다고 생각해요. 273 00:14:29,894 --> 00:14:32,187 이건 아이들이 불어를 하기까지 274 00:14:32,187 --> 00:14:35,852 외우고 연습해야 할 게 너무나 많아서 그런거예요. 275 00:14:35,852 --> 00:14:37,836 스페인어, 독일어, 다른 외국어도 마찬가지에요. 276 00:14:37,836 --> 00:14:41,620 불어를 하기까지 수 년이 걸리게 되니까 277 00:14:41,620 --> 00:14:45,245 불행히도 많은 아이들이 낮은 단계에서부터 흥미를 잃고 278 00:14:45,245 --> 00:14:48,635 자신이 언어에는 소질이 없다는 인상을 갖게 되요. 279 00:14:48,635 --> 00:14:50,119 불어를 할 수 가 없으니까 그렇게 느끼게 되죠. 280 00:14:50,119 --> 00:14:52,169 이건 아이들의 잘못도, 선생님의 잘못도 아닙니다. 281 00:14:52,169 --> 00:14:56,086 그저 새로운 언어를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단계까지 282 00:14:56,086 --> 00:14:58,597 도달하는 것이 정말로 어렵기 때문이에요. 283 00:14:58,597 --> 00:15:01,056 에스페란토어는 언어 습득의 과정을 대폭 줄여서 284 00:15:01,056 --> 00:15:04,258 아이들이 언어의 창의적 사용단계까지 도달하게 합니다. 285 00:15:04,258 --> 00:15:06,324 또한 에스페란토어는 다른 외국어에 대한 감을 길러주며 286 00:15:06,324 --> 00:15:08,395 아이들이 외국어를 재미있고 유용하게 사용하도록 도와줍니다. 287 00:15:08,395 --> 00:15:11,737 이것이 바로 우리가 에스페란토어를 가르치는 이유입니다. 288 00:15:11,737 --> 00:15:15,772 자, "에스페란토어? 학교 수업에서? 공립학교에서?"라는 의구심에 대해 289 00:15:15,772 --> 00:15:18,668 "네, 정말이에요!"라고 대답할 수 있겠죠. 290 00:15:18,668 --> 00:15:21,919 저처럼 에스페란토어 전문가가 가르치는 수업에서 가능할 뿐만 아니라 291 00:15:21,919 --> 00:15:24,691 에스페란토어에 대한 배경지식이 전무한 담임선생님도 292 00:15:24,691 --> 00:15:27,463 에스페란토어 수업이 가능하다는 것이 중요합니다. 293 00:15:27,463 --> 00:15:29,464 에스페란토어를 몰랐던 선생님들도 294 00:15:29,464 --> 00:15:31,465 에스페란토어를 굉장히 빠르게 배울 수 있고, 295 00:15:31,465 --> 00:15:33,466 더 나아가, 가르칠 수도 있기 때문이에요. 296 00:15:33,466 --> 00:15:35,307 이렇게 되면 에스페란토어 선생님을 297 00:15:35,307 --> 00:15:37,148 따로 구해야하는 문제도 단번에 사라지죠. 298 00:15:37,148 --> 00:15:38,989 이건 처음 생각하기로는 조금 민망했는데요, 299 00:15:38,989 --> 00:15:42,185 1년동안 담임선생님과 공부하면서 300 00:15:42,185 --> 00:15:45,097 저에게 최소한으로 에스페란토어를 배웠던 아이들이 301 00:15:45,097 --> 00:15:47,852 제가 1년동안 에스페란토어를 가르쳐왔던 아이들보다 302 00:15:47,852 --> 00:15:49,705 실제로 에스페란토어를 훨씬 더 잘 구사했습니다. 303 00:15:49,705 --> 00:15:51,868 왜일까요? 304 00:15:51,868 --> 00:15:54,574 실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죠. 305 00:15:54,574 --> 00:15:57,280 저는 일주일간 하루 45분간 수업을 해요. 306 00:15:57,280 --> 00:15:59,986 시간 내에 가능한 최대한 가르쳐주면, 그게 다예요. 307 00:15:59,986 --> 00:16:01,835 하지만 담임선생님은 학생들과 항상 같이있으면서 308 00:16:01,835 --> 00:16:03,558 적은 양의 에스페란토어라도 309 00:16:03,558 --> 00:16:05,281 아이들이 배우는 모든 활동에 조금씩 대입시킬 수 있는 거죠. 310 00:16:05,281 --> 00:16:07,004 수학시간과 영어시간에도 311 00:16:07,004 --> 00:16:09,404 에스페란토어를 항상 쓰는 거예요. 312 00:16:09,404 --> 00:16:13,360 그래서 그 아이들이 아주 많은 양을 학습할 수 있었던 거예요. 313 00:16:13,360 --> 00:16:17,868 그 담임선생님이 이전까지의 담임선생님들과 달리 314 00:16:17,868 --> 00:16:21,047 제 수업 이후에도 에스페란토어를 연장선상에서 맡아주었기 때문이지요. 315 00:16:21,047 --> 00:16:24,599 이것이 바로 우리가 하는 일이죠. "도움닫기 언어"는 대단히 효과적이고, 316 00:16:24,599 --> 00:16:28,625 제가 그 프로젝트의 일원임이 기쁘고 자랑스럽습니다. 감사합니다.